이전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 이후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

글 이영규 화재보험협회 위험관리지원센터 과장, 공학박사

1. 머리말

    우리나라의 경우, 비 예보는 기상청이 담당하지만, 홍수예보는 홍수통제소에서 담당한다. 반면 미국은 국립기상국(NWS, National Weather Service)이 비 예보는 물론 홍수예보까지 담당한다. 미 지질조사국(USGS, United States Geological Survey)은 홍수범람도작성도구(FIM, Flood Inundation Mapper)를 서비스하며, 하천 수위에 따른 침수 예상 지역을 지도로 서비스하고 있다. 본 기고에서는 하천 범람에 따른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와 관련하여 국내와 미국의 국가 레벨에서의 서비스를 살펴보고, 민간 레벨에서 필요한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와 화재보험협회의 역할에 대해서다루고자 한다.

2. 국내 홍수통제소와 미국 지질조사국 서비스의 비교 분석

[그림 1]은 국내 홍수통제소와 미국 지질조사국 FIM 웹서비스 화면을 보여준다. 그림에서 지도상의 심볼은 수위관측소의 분포를 보여준다.

한강홍수통제소와 미 지질조사국 FIM 웹서비스 화면(지도위 심볼은 수위관측소)

    [그림 2]는 특정 수위관측소에서의 최근 계측 수위 서비스 화면을 보여준다. 국내와 미국 서비스의 가장 차이점은 향후 3~5일까지의 수위 예보 서비스 여부이다. [그림 2]의 오른쪽을 보면, 계측 수위(NWS Observed)는 검은 실선으로 표현되고 있으며, 미 국립기상국의 예측 수위(NWS Predicted)는 일련의 작은 원 모양으로 표현되고 있다. 홍수통제소의 홍수주의보는 수위관측소 수위가 계획홍수량의 50%에 상응하는 홍수위에 도달할 때 발령되며, 홍수경보는 계획홍수량의 70%에 상응하는 홍수위에 도달할 때 발령한다. 미 국립기상국의 홍수주의보(River Flood Watch)는 하나 이상의 하천 예보 지점에서 침수 가능성이 있는 경우 발령되며1) 홍수경보(River Flood Warning)는 하나 이상의 하천 예보 지점에서 침수가 발생하고 있거나 임박하였을 때 발령된다.2) 즉, 주의보와 경보 발령 기준에 있어서 홍수통제소는 홍수량을 중요 척도로 보지만, 미국의 경우는 침수 가능성을 중요 척도로 보고 있다.

특정 수위관측소의 최근 계측 수위 서비스 화면

USGS FIM의 수위에 따른 침수예상도 표출 서비스

    [그림 3]은 홍수통제소에 없는 서비스로, USGS FIM은 수위에 따른 침수예상도를 표출해주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3. 민간 레벨에서 필요한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

    홍수통제소의 홍수주의보와 홍수경보 발령 소식은 언론매체를 통해 국민에게 전달된다. 하지만 이처럼 불특정 다수에게 전달되는 정보는 무시되거나 소홀하게 여겨지기 일쑤다. 홍수 위험에 처해 있는 사람을 꼭 집어서 “지금 위험해요. 대피하세요.”라고 전달되는 정보 처리와는 너무나 확연한 차이를 보인다. 정보전달의 효과를 최대로 끌어올리기 위해서는 불특정 다수가 아닌 직접적 연관이 있는 특정인을 대상으로 정보 전달하는 서비스가 필요하며, 이와 같은 서비스는 민간 레벨에서 이루어져야 한다고 생각한다.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

    화재보험협회는 침수 위험에 처한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는 침수 위험 알림 서비스의 베타 테스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요구 기능을 장기적으로 확장해 나가고 있다. 특정인을 대상으로 하기 위해서는 침수 위험 알림 지점이 매우 촘촘히 배치되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림 4] 왼쪽 그림은 홍수통제소의 수위관측소 분포를 보여준다. 수위관측소는 수 킬로미터 간격으로 배치된 것을 알 수 있다. [그림 4] 중간 그림은 서울시 하천기본계획서 측점을 보여준다. 측점은 제방의 높이, 재현 기간별 홍수위, 계획홍수량, 계획홍수위 등 속성 정보를 가지며, 20~200m 간격으로 촘촘히 배치된다. [그림 4] 오른쪽 그림은 수위관측소와 측점의 중첩 분포도를 보여준다.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는 [그림 4]에 표현된 촘촘한 측점에서의 수위와 제방 높이와의 차이인 여유고를 바탕으로 침수위험알림서비스를 실시한다. [그림 5]왼쪽 그림에서 점선 육각형은 하천명과 측점 명칭을 보여준다. 또한 점선 직사각형은 왼쪽 제방고와 오른쪽 제방고를 보여준다. 점선 원형은 여유고를 알려주는데, 여기서 여유고는 왼쪽과 오른쪽 제방고 중 작은 값과 현재 수위와의 차를 말한다. 만약 여유고가 1m 이내가 되면, 침수위험알림서비스는 해당 측점 인근 고객에게 <표 1>과 같이 침수 위험을 알리는 문자를 발송하게 된다. 문자를 받은 고객은 차수판을 전개하고, 재고를 더 높은 곳으로 옮기거나 차량을 더욱 안전한 곳으로 이동 조치를 하는 등 손해방지 활동을 할 수 있다. 현재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 고객은 특수건물관계자이며, 서비스의 효과가 검증되면 점차 고객을 늘려가고자 한다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 특정 측점의 여유고와 수위 시계열 그래프

건축 공사현장 화재 주요 현황

4.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의 향후 과제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 베타 서비스는 서울시를 한정으로 한다. 침수위험알림서비스를 위해서는 하천기본계획서 측점 정보(보고서와 도면)를 수집·가공하는 공정이 필요하다. 서울시의 경우 해당 정보 협조가 원활하게 진행되었지만, 지역 확대를 위한 타 지자체와의 만남의 경우, 정보 협조를 위한 설득 과정에 난항을 겪고 있어 전국 확대까지는 꽤 긴 시일이 걸릴 것으로 추정된다. 베타 서비스의 효과를 검증하고 타 지자체에 효과를 알릴 수 있는 경우 현재보다는 정보 협조에 더 유리한 고지를 점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USGS FIM은 수위에 따른 침수예상도 표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화재보험협회 침수위험알림서비스 또한 침수예상도 서비스를 계획하고 있다. 침수예상도 서비스가 제공된다면, 한 단계 향상된 서비스 화면을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실제 현장 모니터링을 위해서, 현재 홍수통제소 수위관측소의 CCTV와 도로 상황 CCTV를 제공하고 있으며, 향우 지자체의 방범 CCTV까지 서비스에 추가한다면, 현장 모니터링 효과를 크게 증폭시킬 수 있을 것으로 본다.

    현재 침수위험알림서비스는 하천 범람에 따른 침수 위험을 다루고 있어서, 올해 8월 서울에서 있었던 우수유출에 따른 침수 위험을 대처하지 못하는 단점을 안고 있다. 하천 범람 관련 침수위험알림서비스를 우선하여 성공시키고 난 후 우수유출 홍수, 해안홍수, 토석류 홍수로 확장해, 모든 유형의 홍수로 인한 침수 위험을 고객에게 통보할 수 있도록 개발해 나아가고자 한다.

1) NWS, A River Flood Watch is issued when river flooding is possible at one or more forecast points along a river.

2) NWS, A River Flood Warning is issued when river flooding is occurring or imminent at one or more forecast points along a r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