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사람이 이용하는 대부분 운송수단에는 안전벨트가 존재합니다. 안전벨트는 탑승자를 좌석에 고정해주는 끈으로 충돌 시 피해를 최소화해주는 안전 장치입니다. 이는 생명과 직결되므로 일정 속력 이상의 운송수단에서는 의무적으로 설치하도록 하고 있습니다.
빈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채 충돌하면 탑승자는 충격을 견디지 못하고 목숨을 잃는데, 대부분 교통사고에 의한 사망은 안전벨트를 하지 않은 경우입니다.
빈 사람들이 안전벨트를 하지 않는 이유는 불편하고, 사고가 나겠느냐는 안일한 생각 때문입니다. 근데 기차에서는 안전벨트를 볼 수 없습니다. 느리게 가는 것도 아닌데, 정해진 경로로 가므로 충돌의 위험이 없다고 판단한 걸까요?
빈 사실 이는 실효성에 관한 문제입니다. 기차 등에 안전벨트를 도입하고자 하는 논의가 있었으나 기차에서 안전벨트를 한 상태로 사고가 발생했을 때 안전벨트를 하지 않을 때보다 사망률이 더 높습니다.
빈 안전벨트를 하면 사망률이 높아진다니 논의할 가치도 없습니다. 안전벨트를 하지 않을 때가 더 안전하다는 말이 의아할 텐데, 기차의 무게는 약 1,000톤입니다. 무게가 많이 나가므로 충돌이 발생했을 때 기차보다는 기차와 충돌한 쪽이 더 큰 피해를 봅니다.
빈 그리고 충돌·탈선 등에 의한 사고로 기차가 전복됐을 때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는 대피나 구조에 방해가 되므로 기차에는 안전벨트가 없습니다.
빈 또한, 기차는 급발진이나 급제동의 위험이 거의 없습니다. 처음에는 속도가 천천히 올라가므로 급발진을 할 일이 없고, 약 3km의 거리를 급제동에 사용하므로 급제동에 의한 신체피해도 발생하지 않습니다.
빈 2007년 영국의 철도안전표준위원회(RSSB)에서 기차 내 안전벨트의 안전성에 관해서 연구한 자료에 따르면 안전벨트를 착용한 상태에서 사고가 발생하면 사망자가 약 6배 이상 늘어날 것이라고 합니다.
빈 따라서 열차의 안전성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충돌 시 기차의 충격 완화 강화에 더 신경 쓰거나 사고가 발생했을 때 승객이 최대한 빠르게 탈출할 수 있도록 기차 구조를 개선하는 게 더 합리적입니다.
빈 그러면 시내버스에는 왜 안전벨트가 없을까요? 왜냐하면, 법의 예외 사항에 속하기 때문입니다. 국토교통부의 자동차 및 자동차 부품의 성능과 기준에 관한 규칙 제27조에 따르면 시내버스는 안전벨트를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고 합니다.
빈 여기에는 여러 합리적인 이유가 있는데, 일단 버스 정류장의 간격은 400~800m 정도로 짧습니다. 짧은 거리를 이동할 때도 교통신호의 통제를 받으므로 속도가 그렇게 빠르지 않고, 대형사고로 이어질 확률이 낮습니다. 또한, 안전벨트 설치를 시내버스에도 의무화했을 때 입석 승객에 관한 문제가 있습니다. 그러니까 서 있는 승객은 안전벨 트를 착용할 수 없으므로 못 타게 해야 합니다. 이를 가능하게 하려면 전면 좌석제를 시행해야 하고, 수송이 느려진 만큼 버스의 운행 횟수를 대폭 늘려야 하는데,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습니다
빈 즉, 시내버스의 안전벨트는 편의와 안전의 딜레마에서 편의를 택한 겁니다. 이런 이유로 시내버스에는 안전벨트가 없습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