빈 무더운 여름이 오면 에어컨 사용과 관련해 정보성 게시글을 많이 접하게 됩니다. 이중 인버터 에어컨 사용 시 잠깐 자리를 비울 때는 계속 켜놓는 것이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라는 이야기를 들어본 적이 있으신가요? 끄는 것보다 켜놓는 것이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이라는 설명은 상식적으로 받아들이기가 어렵습니다. 도대체 무슨 원리일까요?
빈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에어컨에는 정속형 에어컨과 인버터 에어컨이 있습니다. 이러한 에어컨은 냉매가 압축기-응축기-팽창기-증발기의 단계를 반복 이동하면서 액체 냉매가 기체 냉매로 변할 때 주변의 열을 흡수해 온도를 낮추는 원리를 이용합니다.
빈 이때 에어컨에서 전력 소비가 가장 많은 곳은 실외기라고도 불리는 압축기인데, 주파수를 조절하여 압축기의 모터 회전속도를 조절해 작동하는 방식을 인버터 에어컨이라고 하고, 조절 없이 정해진 모터 회전속도로 작동하는 에어컨을 정속형 에어컨이라고 합니다.
빈 그런데 주파수를 어떻게 조절한다는 걸까요?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직류(Direct Current, DC)와 교류(Alternating Current, AC)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이중 교류의 특징은 주파수가 있다는 것이고, 주파수는 1초 동안 전류의 크기와 방향이 바뀌는 횟수입니다.
빈 그리고 인버터(inverter)는 직류를 교류로 변환시키는 전력변환장치이고, 이 반대 기능을 하는 것을 컨버터(converter)라고 하는데, 인버터 에어컨은 더 쉬운 주파수 조절을 위해 두 장치 모두 사용합니다.
빈 집에서 사용하는 전기는 220V의 교류 전기입니다. 인버터 에어컨은 컨버터와 인버터를 이용해 원하는 주파수를 설정해서 압축기의 모터 회전속도를 조절합니다. 모터의 회전수 공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인버터 에어컨은 일반적으로 20Hz에서 95Hz까지 주파수를 조절할 수 있고, 정속형 에어컨은 우리가 쓰는 교류의 주파수인 60Hz를 그대로 사용합니다.
빈 정속형 에어컨은 설정한 온도보다 실내 온도가 높으면 압축기가 가동했다가 설정한 온도에 도달하면 모터의 가동을 멈추는데, 인버터 에어컨은 가동을 멈추게 하지 않고, 모터 속도를 느리게 조절합니다.
빈 모터가 있는 모든 제품이 그러하듯 멈춘 모터가 새롭게 회전운동을 시작하면 순간 전력소비가 매우 큽니다. 따라서 전력소비를 최소화한 상태로 느리게 돌아가게 해놓고 필요할 때 다시 빠르게 돌아갈 수 있게 하면 전력소비를 줄일 수 있습니다.
빈 이런 원리를 응용한 제품이 인버터 에어컨이므로 오랫동안 자리를 비우는 것이 아니라면 계속 켜두는 것이 오히려 전기요금을 절약하는 방법입니다.
빈 그런데 이런 정보를 알고 있어도 사용 중인 에어컨이 무슨 에어컨인지 잘 몰라서 정속형 에어컨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구분하는 방법은 여러 가지가 있으나 에어컨 옆 전기용품 안전 관리법에 의한 표시라고 해서 제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표기된 표를 확인하는 방법이 가장 쉽습니다.
빈 여러 정보 중 소비전력(또는 정격입력)을 보면 되는데, 최소-정격-최대 등으로 세분되어 있으면 인버터 제품이고, 달리 구분이 없으면 정속형 제품입니다.
빈 일반적으로 인버터 에어컨은 정속형 에어컨보다 내부 부품이 더 많고 회로도 복잡해서 가격이 더 비싼 편입니다. 그래도 여름철 하루 8시간 이상씩 계속 가동해 3년 정도 사용하면 이를 통해 절약된 전기요금이 비용을 상쇄해준다고 합니다.
빈 따라서 정속형 에어컨을 쓰는 경우 바꿀 기회가 오면 인버터 에어컨으로 교체하는 것을 권장하고, 에어컨 성수기인 여름보다 겨울에 구매·설치하는 것이 경제적이므로 참고하길 바랍니다. 궁금증이 해결되셨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