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unich RE의 NATHAN, FM Global의 NatHaz Map, Swiss RE의 CatNet® 등 해외 재보험사에서는 GIS 기반으로 구성된 지도 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기후 데이터를 비롯한 자연재해, 인구데이터, 주변 지형 정보 및 위성지도 등을 보험업계에서 활용할 수 있도록 상용 서비스로 제공하고 있다. 이러한 지도 기반의 GIS 서비스 트렌드에 맞춰 KFPA의 일반보험 플랫폼 BRIDGE(이하, BRIDGE)에서는 국내 공공데이터 및 자연재해 위험데이터를 기반으로 국내 사업장에 최적화된 위험관리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는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을 오픈하였다(그림1). 지도위에 데이터로 표현되는 수많은 위험 정보는 보험업계, 사업장, 정부기관 등의 리스크관리(Risk management)를 결정하는 중요한 기준이 될 수 있으며, 보험 인수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판단 근거로서도 활용될 수 있다. BRIDGE에서 제공하는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 서비스에 대해 간략이 소개하고자 한다.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은 GIS 기반의 지도 UI(User interface)를 중심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적으로 주소 검색 기능 및 지도상에서 원하는 지점의 선택이 가능하도록 기능이 구현되어 있으며, 특히 특수건물은 해당 물건번호를 검색하여 해당 사업장에 대한 주변의 위험분석 자료를 손쉽게 확인해 볼 수 있다.
사업장 중심으로 500m, 1km, 2km, 5km의 반경 내 주변의 공간정보 및 위험 분포을 확인할 수 있도록 반경 선택 기능이 탑재되어 있으며, 선택된 반경 내의 시설 유형별 데이터를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학교, 병원, 주유소 등 14종으로 구성된 시설유형은 사업장 주변의 공간정보 뿐만아니라, 사고피해예측을 통한 위험성평가 시 반영되는 공공수용체 및 환경수용체로서 위험성 평가의 기초자료로도 활용이 가능하다. 반경 내 선택된 시설유형의 데이터는 지도상에 고유의 마커로 표현되며, 데이터 분석 결과로서 사업장 주변의 시설현황 분포(수) 및 비율, 시설명, 가장 가까운 거리 등 상세 데이터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해당 지점을 중심으로 반경 내 등록된 총 거주인원 및 남녀 인구(비율), 연령별 인구 비율 등의 인구정보를 제공하여 사업장의 화재, 폭발, 누출 사고에 따른 인적 피해 규모를 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피해 규모의 정량화는 사고 발생 시 피해최소화 대책수립 뿐만 아니라 배상책임 가액평가를 위한 보험자료로도 사용이 가능하다.
소방서와 공공소방용수는 사업장의 사고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하고 주변으로 피해가 확산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시켜줄 수 있다. GIS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는 사업장으로부터 가장 가까운 거리의 소방서 위치(소방서 명, 소방서 거리)와 공공소방용수(소화전 등)의 정보를 제공하여 공공소방대응에 대한 지리적 데이터를 표출한다. 서울 도심 소방차의 평균시속인 약 20km/h를 기준으로 소방차가 골든타임 내 도착할 수 있는 거리, 소방차의 호스 길이 등을 반영하여 공공소방시설에 대한 접근성을 평가할 수 있다.
최근 이상기후의 영향으로 자연재해로 인한 손해율이 증가하고 있으며, 정부기관 및 사업장 뿐만 아니라 보험사에서도 자연재해에 관련한 데이터에 관심도가 증가하고 있다. KFPA BRIDGE의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에서는 사업장 위치에서 가장 가까운 관측소에서 측정된 기후데이터 중 평균기온, 평균풍속, 평균풍향의 일반적인 위험 수준의 데이터와 최악의 상황을 고려한 최고/최저기온, 순간최대풍속, 바람장미(Windrose data), 시간당 최대강수량 등 위험 평가를 위한 데이터 분석자료를 제공하여 기후로 인한 재해를 예방, 대응할 수 있도록 정보를 제공한다.
우리나라에 주로 발생한 자연재해 과거데이터를 바탕으로 피해를 예측하고 대책을 수립할 수 있도록, 5종 15개 위험요소로 구성된 종합 자연재해 위험자료를 시각적으로 확인이 가능하다. 원하는 지점에서 Earthquake, Stormrisk, Floodrisk, Coldrisk, Wild Fire의 5종 자연재해애 대한 개별위험요소의 Risk Score (Very Low ➔ Extreme)를 확인할 수 있으며, 각 위험요소의 위험을 지도상에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지도 화면으로 제공한다.
최근 공공데이터 정책과 함께 공간정보(지도)와 데이터의 결합을 통한 데이터 기반의 GIS 서비스는 모든 산업에서 활발하게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KFPA BRIDGE의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은 GIS 지도 기반의 데이터 서비스를 제공하며, 지도상에 공간 데이터를 시각화하여 보여주는 플랫폼 서비스로서 보험산업의 활성화를 위한 위험관련 데이터를 제공한다.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인구수, 시설 유형, 소방서, 자연재해 및 기후데이터는 정책기관 및 사업장의 위험대책 수립을 위한 자료로 활용할 뿐만 아니라, 배상책임과 관련하여 예상 피해액을 산정할 수 있는 정량적 근거데이터로도 활용할 수 있다. 또한 지도기반의 서비스를 통해 보험 인수를 위한 데이터 기반의 마케팅 자료로 사용하는 등 다양한 방면으로 활용이 예상된다.
위험관리 선도기관으로서 화재보험협회는 지난 수십년간 특수건물 현장을 방문하여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사업장 내부의 위험을 관리해왔다. 이와 함께 BRIDGE 위치기반보험정보시스템을 통해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업장 외부로부터의 위험 요인을 분석하여 제공함으로서 KFPA의 위험관리분야를 한층 고도화시킬 것으로 기대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