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전 화재보험협회,「2021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발간 이후

화재보험협회,「2021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발간

특수건물 화재통계 안전점검 결과 분석 발간

한국화재보험협회(이사장 강영구)는 「2021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을 발간했다고 20일 밝혔다.

자료에 따르면, 2021년 12월 말 기준 전국에 소재한 특수건물 50,387건에서 2,431건의 화재가 발생하였으며, 화재발생률은 4.82%로 전년 5.13% 대비 소폭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명피해가 발생한 화재는 131건으로, 15명이 사망하고 255명이 부상당했다. 전년 사상자(284명, 사망 25명·부상 259명) 수 대비 4.9% 감소했다.

업종별 화재발생 건수는 아파트가 1,112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장 771건, 11층 이상 건물 245건 순이었다. 특수건물 1천 건 당 화재발생 빈도는 아파트(104.9건), 공연장(78.4건), 학교(76.9건), 판매시설(59.4건), 다중이용시설(57.9건) 등이 평균(48.3건)을 웃돌았다.

가장 큰 화재원인은 부주의(36.9%)로 나타났으며, 전기적 요인(32.2%)과 기계적 요인(14.3%) 등이 뒤를 이었다. 특히 부주의 가운데 담배꽁초(29.3%)를 무심코 버리거나 음식물 조리(19.7%) 과정에서 일어나는 실수가 화재로 이어진 경우가 많았다.

재산피해는 1,455억원으로 전년 대비 329.3억원이 증가했다. 업종별로는 공장(66.8%), 판매시설(26.1%), 아파트(4.0%) 화재가 피해액 대부분을 차지했다. 화재 1건당 평균 재산피해액은 59,582천원으로 1건의 대형사고로 재산피해액이 급증했던 2019년을 예외로 두었을 때 최근 5년간 꾸준히 증가하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이는 기술 발전 및 산업의 고도화에 따라 건축물의 규모가 대형화되고 고가의 설비가 증가하여 화재사고로 인한 피해액 또한 점차 확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한편, 특수건물의 방화시설 상태를 수치화한 양호율(안전점검 결과 100점 중 90점 이상에 속한 비율)은 평균 76.2%로 전년도 75.4%에 비해 소폭 개선되었다.

업종별 양호율은 철도시설(83.3%), 국유(82.4%), 공유(80.6%), 방송국(80.3%) 등이 높았고, 다중이용시설(64.0%), 목욕장(64.3%), 판매시설(66.1%) 등은 낮았다.

시설별 양호율은 소화활동/용수설비(95.2%), 발화위험시설(86.8%), 피난시설(82.5%) 등은 관리가 양호한 편이었지만, 안전관리(49.9%), 연소확대방지시설(49.8%) 등은 낮게 나타나 보완이 필요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화재보험협회 관계자는“장기화된 코로나19 유행의 영향으로 여가생활의 제약이 일상화되었다. 2021년 화재통계에는 이러한 사회의 변화가 반영되어 주거 및 산업 현장의 화재로 인한 인명피해가 전체 인명피해의 88%를 차지하여, 예년에 비해 현저히 높아진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통계 결과에 따라 새로운 위험관리 방안을 모색할 필요가 있다”며“협회는 그동안 축적해 온 특수건물 안전점검 데이터를 토대로 일반손해보험 플랫폼을 구축하고 손해율 감소에도 더욱 기여할 것”이라고 밝혔다.

화재보험협회는 1973년 “화재보험법”에 따라 설립된 국내 최고의 손해보험 위험관리 전문기관이다. 화재 등 각종 재해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해 중대형 건물인 특수건물의 화재안전점검, 방재기술 시험연구, 화재원인조사, 안전문화 개선을 위한 교육홍보 등의 공익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 「2021년 특수건물 화재통계·안전점검 결과 분석」: 화재보험협회 홈페이지(지식창고-분석자료)에 게재

특수건물이란? 여러 사람이 출입 또는 거주하는 중대형 건물(연면적 3000㎡ 이상인 의료, 호텔 등 숙박시설, 2000㎡ 이상의 학원 및 다중이용시설, 16층 이상의 공동주택, 11층 이상의 건물 등)이다. 화재 시 막대한 인명 및 재산피해가 우려되어, 화재보험법에 따라 매년 협회의 안전점검을 받아야 하고 화재보험에도 반드시 가입하여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