Q&A

Q&A 관련 정보를 전해드립니다.

  • Q. 지하1층 지상3층 건축물입니다
    지하1층 410 ㎡ , 지상1층 1,500 ㎡, 지상2층 1,200 ㎡, 지상3층 950 ㎡, 연면적 : 4,060 ㎡
    아래와 같이 피난계단이 3개소 설치되어 있습니다.
    (지상2층부터 계단실 출입문은 옥상 층까지 갑종방화문으로 설치되어 있습니다.)
    #2번 지상1층 계단입구 복도 쪽 SD되고 옥외 쪽 SD 출입문 설치되어 있습니다.
    #3번 지상1층 계단에서 옥외 쪽 SD 출입문 설치되어 있습니다.
    #1 계단실은 지하1층 옥상 층(휀룸)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2 계단실은 지하1층 지상 3층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3 계단실은 지상1층부터 지상 3층까지 연결되어 있습니다.
    #1,3 계단실 입구에 방화문이 미설치 되어도 건축법에 적법한지 궁금하여 질의 드립니다.
    (#1계단시 지상1층 로비/홀 연결, #3계단실 복도부분 연결 )

  • A. 질의하신 건물은 규모를 기준으로 지하층, 3층은 층별 방화구획 대상이고, 각 부분은 1,000㎡ 이내마다 면적별 방화구획 대상입니다.
    따라서 각 계단의 지하층 및 3층은 계단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합니다.
    또한 1층과 2층은 층별 방화구획 대상은 아니나 면적별 1,000㎡이내가 되도록 방화구획을 설정하여야 하는데 통상 층간 방화구획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므로 1층 또는 2층의 어느 한 층의 계 단과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여야 할 것입니다.
    하나의 계단이 지하층, 2층, 3층 계단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였다면 1층 계단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하지 않았더라도 각 층간 방화구획이 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 다만, 건물의 화재안정성 측면에서 볼 때 건물의 각 층 계단 출입구에 갑종방화문을 설치할 것을 권장 드립니다..

  • Q.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에 적합한 열관류율의 시험성적서를 받고자 문의합니다. 도어의 열관류율은 KS F 2278 시험을 받아야 하는 것 같은데요.

    Q1. 테스트용 도어는 개구부(벽체 타공 규격)를 2,000mm × 2,000mm로 제작하면 되나요?
    Q2. 테스트용 도어는 완성품으로 설치하는 것인가요?
    예를 들면 수동 슬라이딩 도어로 시험성적서를 받았는데 거기에 전동으로 사용하기 위하여 도 어상부에 모터와 컨트롤을 추가 부착하는 경우에도 따로 테스트를 받아야 하는지 궁금합니다.
    Q3. 이 테스트는 유효기간이 따로 있나요?

  • A. 문의하신 바와 같이 "건축물의 에너지절약 설계기준" 제6조 제1호에서는 "창 및 문의 경우 KS F 2278(창호의 단열성 시험 방법)에 의한 국가공인시험기관의 KOLAS 인정마크가 표시된 시험성적서 또는 별표4에 의한 열관류율값 또는 산업통상자원부 고시 효율관리기자재 운용규정에 따른 창 세트의 열관류율 표시 값이 별표1의 열관류율 기준을 만족하는 경우 적합한 것으로 한다."고 되어 있어 문의하신 열관류율 시험은 KS F 2278에 따라야 합니다. 다만, "고효율에너지기자재 보급촉진에 관한 규정"(산업통상자원부 고시 제2016-194호)에 따른 도어 시험체의 열관류율 시험 사이즈는 1,000mm × 2,100mm 으로 규격화 되어 있으므로 질의하신 내용 중 Q1번과 Q2번의 답변은 제품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자세한 내용은 상담이 필요합니다.
    Q3은 관련 법령에서 시험성적서의 유효기간을 두고 있지 않는 한, KS F 2278 시험성적서 자체만으로의 유효기간은 없습니다.

  • Q. 열감지기의 경우 RTI 값이 필요하다고 알고 있습니다.
    그렇다면 RTI 반응지수시간이 낮을 때 감지기가 빨리 작동하나요? 아니면 높을 때 감지기가 빨리 작동하나요?
    RTI의 값에 따른 작동시간 상관관계를 알고 싶습니다.

  • A.열감지기는 감지기별로 특정 조건(온도, 풍속, 온도 상승률, 연기의 농도 등)을 부여한 후 작동시험(소정의 시간에 작동되는 것) 및 부작동 시험(작동되지 않는 것)에 따라 구분하며 민감도에 따라 특종 및 1종, 2종, 3종으로 구분합니다.
    질의하신 RTI(Response Time Index)는 반응시간지수로 스프링클러 헤드의 화재감지특성을 나타냅니다. RTI가 작을수록 민감하게 작동되며 헤드 감열체의 질량이 작을수록, 표면적이 넓을수록, 비열이 작을수록 헤드 작동시간(반응시간)은 짧아집니다. 헤드의 RTI는 속동형은 50 이하, 특수형은 50~80, 표준형은 80~350 입니다.


    ■ RTI = τ √u
         τ: 감열체의 시간상수(s)
         u: 기류속도(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