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재정보

방재 관련 기술정보를 전해드립니다.

새로워진 자연재해 언더라이팅 지원 기능

이영규 KFPA 조사연구팀 수석전문위원, 공학박사

1. 머리말

한국화재보험협회(이하 ‘KFPA’라 함)는 UCIS(언더라이팅 자료 조회 시스템)의 자연재해 위험관리 콘텐 츠를 보강하였다. 기존 UCIS에서는 침수흔적을 비롯하여 하천범람 위험, 해일범람 위험, 태풍 위험, 강풍 위험, 적설 위험, 낙뢰 위험 등 7종의 자연재해 위험관리 콘텐츠를 제공하였다. 하지만 2015년 10월부터는 UCIS를 통하여 기존 7종의 자연재해 위험관리 콘텐츠 이외의 9종 콘텐츠 및 재해손해통계를 추가로 선보 인다. 9종의 콘텐츠에는 동해안의 쓰나미 위험, 강우 위험, 내수침수 위험, 토네이도 위험, 지진 위험, 화산 위험, 우박 위험, 산불 위험, 한파 위험 콘텐츠가 포함된다. 이 글에서는 UCIS에서 제공하는 자연재해 위험 관리 정보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지 소개한다.

[그림 1] 그래픽 기반의 UCIS 화면

2. UCIS 개요와 상세 위험관리

바쁜 업무 속에서 시간을 쪼개어 사용해야 하는 담당자라면 꼭 필요한 정보만을 받아보길 희망할 것이다. 따라서 수많은 정보들 가운데서 취사선택하는 것이 필요하다. 그러나 중대한 사안이나 계약의 경우 상세한 정보를 면밀히 심사숙고할 필요가 있다. UCIS는 필요한 정보만을 담은 요약정보만을 제공하기도 하고 상 세한 정보를 요하는 사용자에게는 약 20쪽 분량의 위험관리 리포트를 제공하기도 한다.

UCIS에 접근하기 위해서는 KFPA 홈페이지(www.kfpa.or.kr)로 접속하여 홈페이지 메인화면 하단의 “언더라이팅자료조회”배너를 클릭하여 접속할 수 있다. UCIS 메인화면(ucis.kfpa.or.kr)으로 바로 접속할 수도 있다. UCIS는 텍스트 기반과 그래픽 기반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그림 1]은 그래픽 기반의 UCIS 화면을 보여준다. 특수건물에 대한 자연재해 위험관리 정보를 보고 싶다면 ‘특건검색’탭에서 특수건 물을 검색하여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특수건물이 아닌 비특수건물에 대한 자연재해 위험관리 정보를 보고 싶다면 ‘지도검색’탭에서 건물명이나 주소를 통해서 검색한 후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는 특수건물의 요약 위험관리 정보 제공 양식을 보여준다. KFPA의 안전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평 가된 화재·풍수재·낙뢰 손인에 대한 5단계 안전등급을 보여준다. 상세 정보를 원하는 사용자라면 안전등 급 하단의 ‘특수건물 웹 언더라이팅자료 상세보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하단의 ‘손해자료 통 계분석을 통한 GIS기반 자연재해 언더라이팅’의 자연재해 연간기대손실은 손해자료를 KFPA에 제공하는 보험사 소속 사용자에게만 제공되는 것으로 경험적 손해자료의 통계로 연간 단위연면적당 얼마의 보험금이 지급되는지를 알려준다. ‘자연재해 웹 언더라이팅자료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자연재해 위험관리에 대한 상 세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그림 2] 특수건물 요약 위험관리 정보 제공 양식

특수건물의 경우 KFPA에서 안전점검을 실시하기 때문에 [그림 2]와 같은 요약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하 지만 특수건물이 아닌 비특수건물의 경우에는 건물에 대한 정보를 알 수 없어 [그림 2]와 같은 요약 정보를 제공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비특수건물에 대해서는 [그림 3]과 같이 건물 입지에 따른 자연재해 위험관리 요약 정보를 제공한다. [그림 3]에서 알 수 있는 것과 같이 수재에는 하천범람, 내수침수, 폭풍해일, 쓰나미, 강우수침 등 5개 유형에 대해서 해당 건물 입지의 위험 단계를 5등급으로 평가하여 제공한다. 풍재에는 폭 풍, 태풍, 토네이도의 3가지 유형에 대한 입지 위험 등급을 제공한다. 그밖에 적설, 낙뢰, 지진, 화산, 우박, 산불, 한파 유형에 대한 입지 위험 등급을 제공한다. 각 재해 유형별 등급 평가에 대한 상세한 내용을 알고 싶다면 [그림 3] 우측 하단의 ‘자연재해 웹 언더라이팅자료 상세보기’를 클릭하여 확인할 수 있다. [그림 3] 중앙 하단의 ‘자연재해 연간기대손실’은 [그림 2]와 동일하게 손해자료에 근간한 연간 단위연면적당 지급보 험금을 보여준다.

[그림 3] 비특수건물의 요약 위험관리 정보 제공 양식

[그림 2와 3]에서 ‘자연재해 웹 언더라이팅자료 상세보기’를 클릭하면 약 A4 스무장 분량의 리포트를 볼 수 있다. 리포트에는 해당 입지 주변의 위성사진과 15종 자연재해에 대한 위험등급과 재해지도가 수록되어 있어 있으며 [그림 4]와 같은 핵심 요약 정보도 수록되어 있다. 핵심 요약표에 제시된 수치는 ‘특수건물 손해 자료 2009-2013’을 바탕으로 한 것으로 단위연면적당 지급보험금을 보여준다. 해당 사업장의 연면적을 곱 하면 재해유형별로 연간 얼마의 손실이 예상되는지를 산정해 볼 수 있다.

[그림 4] 자연재해 웹 언더라이팅자료 상세보기 중 핵심 요약

3. 재해손해통계

재해손해통계는 자연재해로 인한 손해자료를 KFPA와 공유하고 있는 보험사 사용자에게만 제공하는 배 타적 서비스다. [그림 5]는 재해손해통계 화면을 보여준다. [그림 5]에서 좌측은 통계를 위한 설정 부분이 다. 분석 범위, 업종 범위, 재해 범위, 기간 범위를 설정한 후 ‘통계분석’ 버튼을 클릭하면 [그림 5]와 같은 결 과 화면을 볼 수 있다. [그림 5]에는 세 가지 차트가 보이는데, 차트에 표시할 정보는 [그림 5] 좌측의 차트 설정을 통해서 결정된다. 원본데이터조회 버튼을 통하여 통계에 사용된 손해자료를 일일이 확인할 수도 있 다. 또한 지도상에는 각각의 손해자료 사고위치를 심볼로 보여주고 있는데, 이 심볼을 마우스로 클릭하여 해당 사고의 상세 내역을 확인해 볼 수도 있다.

재해손해통계는 데이터가 많을수록 정확한 통계를 제공한다. 현재 3개 보험사에서 자료를 협조해 주고 있으나 더 많은 보험사가 참여하여 한층 높은 통계로 보험사에 이득이 될 수 있길 기대한다.

[그림 5] UCIS의 재해손해통계 화면

4. 맺음말

KFPA는 과거 화재 담보에서 전위험을 담보하는 보험 흐름에 부합하여 화재뿐 아니라 폭발, 붕괴, 풍수 재까지 안전점검 분야를 확대해가고 있으며 안전점검 결과를 바탕으로 보험 계약 시 활용될 수 있는 위험관 리정보를 생성·제공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UCIS는 위험관리정보 제공자와 정보를 필요로 하는 고객의 접 점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고객이 필요로 하는 정보를 고객이 손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UCIS는 진화해야 할 것이다.

UCIS가 진화하기 위해서는 고객의 소리가 반드시 필요하며 이에 귀 기울이는 KFPA의 적극적인 자세가 필요하다. 앞으로도 UCIS가 한층 더 나아갈 수 있도록 많은 의견을 부탁드리며 KFPA는 고객의 의견을 적 극 수용할 수 있도록 힘쓸 것을 다짐한다.